
보조 자세

보조 자세는 리히테나워 검술의 기본 4가지 자세를 제외한 자세이다.
이 장에서 설명할 자세는
1 크론
2 존훗
3 행엔
4 아인혼
5 랑오트
6 존오트
7 슐리쉘
8 미틀훗
9 네벤훗
10 벡셀
11 쉬랭훗
12 바이코니오
이며 너는 이 보조 자세를 이용하여 상대방의 공격을 쉽게 방어하거나,쳐낼 수 있다. 보조자세는 자세와 자세 사이, 혹은 자세와 베기 사이에 거쳐가는 동작으로써 기능하는 경우가 많으며 그러므로 너는 이 보조자세에 대해 너무 어렵게 생각하지 않아도 된다. 가령 너가 검끝을 내리며 크럼프하우를 한다면, 자연스럽게 쉬랭훗에서 정지할 것이고 끝까지 존하우한다면 벡셀이 되는 것이다. 보조 자세를 배움으로써 모든 상황에 있어 유연하게 대처하라.

크론

Krone
크론은 왕관이라는 뜻으로 검을 머리 위로 들어 상대방의 공격으로부터 머리를 보호하는 자세이다. 이 때 너의 크로스가드가 마치 왕관과도 같이 너의 이마 위에 위치해야 한다. 서로가 머리를 베려고 하는 상황에서 검이 바인딩된다면. 누구라도 머리를 보호하기 위해 자연스럽게 크론으로 들어올려 방어하게 될 것이다.
너는 이 크론을 통해 싸움에서 손쉽게 이길 수 있는데, 크론에서부터 검날을 상대의 머리에 밀어붙이며 압박하는 것이다. 이는 매우 당연하고 자연스러우며 쉬운 기예이지만. 만약 상대가 실전에 익숙하지 않다면 압박감과 공포감에 움직이지 못할 것이다. 만약 상대방이 정지하거나, 너가 상대방을 정지하게 만들 수 있다면 너는 모든 공격을 손쉽게 성공시킬 수 있다. 움직이지 않는 상대는 훈련용 모형과도 같기 때문이다.
하지만 상대 또한 마찬가지로 크론에서부터 너를 밀어붙이려고 할 것이다. 이 때 상대가 앞으로 돌진하며 밀어붙인다면 손을 뒤로 빼며 즈버크하우를 통해 상대의 관자놀이를 벨 수 있다, 상대가 나를 밑으로 내려찍는다면 행엔으로 흘린 뒤 검을 뒤집어 머리를 쳐라.
서로가 이러한 반격을 경계하여 강하게 바인딩되지 않거나, 네가 방어하고 있는 상황이면 상대가 크론에서부터 검을 돌려 나의 빈틈을 공격하려 할 것이다. 이 순간에 너는 검을 떼지 않은 채로 상대방의 손 사이에 검을 밀어 검의 강한 부분으로부터 하여금 상대의 손을 썰어내릴 수 있다.
여기 아주 간단하고 효율적인 속임수가 있는데 크론으로 바인딩 된 상황에서 상대를 일부러 밀어붙이지 않는 것이다. 네가 상대의 머리를 공격한다면, 상대는 당연하게도 검을 떼지 않으려 할 것이기에, 반대로 너가 상대의 머리를 공격하지 않는것처럼 속여 약하게 측면으로 바인딩한다면 상대는 그 감각을 통해 안전함을 확인하고 반대편을 공격하려 할 것이다, 이 순간에 위와 마찬가지로 상대의 팔 사이로 검을 밀어붙이는 것이다.
만약 상대가 약하게 바인딩한다면, 너는 상대의 오른쪽 어깨에 왼쪽 쉴하우하며 검을 봉쇄함과 동시에 목을 썰어넘길 수 있다.
숙련된 상대는 너의 공격과 방어를 부수고 동시에 머리 넘어를 공격하려 할 것이다. 보통은 검을 높게 들어 방어하려 하지만 상대가 강하게 달려들어 검의 강한 부분끼리 바인딩한 뒤 동시에 쉴하우하거나 위버그라이펜한다면 너의 뒤통수나 어깨 넘어까지 공격이 들어오기에 바인딩을 이용한 기예를 쓰거나 이러한 공격을 방어하기 매우 까다로울 것이다. 이때 머리를 쉽게 방어하고 싶다면, 검의 면을 엄지로 받쳐 검의 면이 상대와 평행하게 한 뒤에, 수직이나 앞으로 올라간 검끝을 너의 머리 위를 넘어 뒤까지 치켜올려라. 이렇게 한다면 상대의 높은 베기가 그의 크로스가드가 아닌 검날을 통해 바인딩되기에 받침점이 멀어져 깊숙히 베기에 있어 한계가 생기고, 따라서 손쉽게 방어할 수 있으며, 반격으로써 더 빠르고 강하게 즈버크하우 할 수 있다.
이러한 기예를 이용하여 상대방의 움직임을 봉쇄함과 동시에 손쉽게 측면을 공격할 수도 있는데, 검끼리 바인딩하여 크론하는것이 아니라 너의 손을 상대방의 손에 바인딩하여 크론하는 것이다. 만약 이렇게 한다면 상대방은 검을 움직일 수 없고, 너가 상대방의 손을 옆으로 밀어낸다면 자연스럽게 즈버크하우할 수 있으며, 상대의 손을 치켜올리거나 내려감으며 공격할 수도 있다. 네가 상대의 손을 밀어내는 방향을 의도적으로 결정하게 된다면 상대가 마찬가지로 힘으로 버틸 수 있으며, 상대방의 손의 위치와 힘의 방향을 보고 약한 방향으로,반대의 방향으로 밀어내야 한다.
너는 크론에서 검을 움직이지 않고 몸과 왼발을 상대의 오른쪽으로 보내며 방어할 수 있는데, 이는 폼탁과 유사하거나 같은 자세이며 브레히펜스터라고 부르게 된다. 이렇게 한다면 상대의 검의 궤도에서 벗어남과 동시에 상대의 뒤통수를 공격할 수 있다.
이렇듯 크론에는 많은 기예와 기예에 대한 반격법이 존재하는데, 이는 검술에 대한 이해가 없는 초보자부터 숙련된 검객까지 모든 사람이 자연스럽게 머리를 공격하고, 머리를 방어하려고 하기 때문이다.



아인혼

Einhorn
아인혼은 외뿔이라는 뜻을 가진 자세로써 주로 위에서 오는 공격을 받아흘린 뒤 공격하거나. 그대로 쉴하우나 크럼프하우를 할 준비를 할 수 있는 자세이다. 아인혼은 옥스에서 검을 45도 위로 들어올리거나, 플루크에서 검을 머리춤으로 들어올리는것으로 쉽게 전환할 수 있다.
이렇게 하라
만약 상대가 너에게 존하우한다면 너는 아인혼으로 바인딩한 뒤 검의 속도가 떨어진 적을 그대로 공격할 수도 있다, 만약 상대가 계속해서 압박한다면 너는 그대로 쉴하우하여 상대의 머리를 벨 수 있다.
만약 상대가 너의 아인혼을 의식하여 너의 검에 존하우나 크럼프하우하려 한다면 너 또한 크럼프하우로 바인딩을 피해 검을 회전시켜 반대편 자세로 끝나게끔 상대방을 공격할 수 있다.
아인혼은 상대 검의 힘을 엉뚱한 방향으로 흘려내거나 멈추게 만드는데 있어 특히 탁월한데, 만약 너가 상대의 존하우를 아인혼으로 막아내었다면 자신있게 그대로 검을 뒤집어 낮은 즈버크하우하라.
만약 상대가 너의 옥스를 크럼프하우로 쳐내려 한다면, 너는 행엔이나 아인혼으로 크럼프하우를 피하고 공격할 수 도 있다. 아래로 검끝을 내리는 행위는 두히벡셀,위로 검끝을 올리는 행엔은 주켄이라 한다.
우리가 보편적인 검술처럼 굳이 앞날로 들어 방어하지 않고, 아인혼으로 바인딩하여 방어하는가에 대한 이유는 여기에 있다. 먼저 리히테나워 공격은 측면 공격이 많고 아인혼이 보다 측면을 쉽게 방어해주기 때문이다. 또한 네가 상대의 공격을 아인혼으로 막았을 때, 즉각적으로 다른 뒷날베기를 시행할 수 있다.
.jpg)
랑오트

Langenort
랑오트는 긴 끝이라는 뜻으로 중앙선에서 수직으로 손을 뻗은 채로 검끝으로 상대방을 겨냥하는 자세이다.
긴 끝을 만들고자 한다면 오른발이 앞에 오고 검끝으로 상대를 겨냥해야 한다. 만약 네가 왼손잡이라면 왼발이 앞으로 오게 하여야 한다.
랑오트는 노말그립과 썸그립이 있는데 노말그립의 랑오트는 샤이텔하우가 중간에서 멈춘 형태라고 생각하면 편하다. 썸그립의 경우 검의 면을 엄지로 받치고 플루크하듯이 검을 비스듬하게 세우는것이 좋다.
랑오트는 먼 거리에서 오는 공격을 방어하기 좋은데. 요아힘 마이어는 이를 철문(eisenport)자세의 일종이라고 소개한다.
만약 네가 먼 거리에서 샤이텔하우한다면 알버까지 베는것보다 절반만 베어 랑오트에서 멈추는것이 좋다. 만약 아래 끝까지 베기하였는데 상대에게 닿지 않는다면 상대가 쉽게 반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베기가 닿지 않더라도 랑오트에서 멈춘다면 상대는 눈앞의 검끝을 보고 쉽게 공격하지 못 할 것이다.
이렇게 하라
만약 네가 샤이텔하우하였는데 상대가 물러난다면 그대로 검끝으로 상대를 겨냥하여 찌른다. 상대는 너의 찌르기에 위협을 느껴 자신의 좌측으로 검을 움직여 방어할것이고. 이때 반대편을 공격하라.
네가 보다 먼 거리에서 교전하는것을 선호한다면 썸그립 랑오트를 통해 상대의 공격을 쉽게 방어할수도, 상대방을 찌를 수도 있다. 만약 상대를 찌른다면 손을 옥스에 가깝게 높게 들어올려야 한다. 이렇게 한다면 상대의 반격을 크로스가드를 통해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만약 그렇지 않는다면 상대의 반격에 머리를 찔리거나 베일 수 있다.
상대가 너의 검끝과 찌르기를 두려워하여 크럼프하우 등을 통해 바인딩하려 한다면, 너는 두히백셀과 주켄을 통해 그것을 회피하고 반격할 수 있다. 만약 상대가 넓게 크럼프하우하여 회피하기 어렵다면, 힘을 빼고 밀어붙여지는 힘을 그대로 이용하여 반반대편을 공격하라.
랑오트만으로는 측면에서 오는 공격과 특히 즈버크하우를 완전히 막아내기 어려운데, 이 때에는 공격이 오는 쪽으로 플루크하거나 아인혼하여 확실하게 방어하는 것이 좋다.
너가 랑오트로 끝나는 샤이텔하우하였는데 엄지손가락을 맞는다면 이렇게 하라.
상대와의 거리에 따라 왼손의 위치를 조절한다. 왼손이 항상 오른손과 평행하게 서면 검의 강한 부분끼리 바인딩될 때 엄지손가락을 베일 수 있다. 이 때에는 왼손을 오른손보다 아래에 위치하게끔 한다.

.jpg)
쉴하우

Schielhau
쉴하우는 사팔뜨기 베기라는 뜻을 가진 공격으로써 주로 우측 폼탁에서 왼쪽 옥스나 왼쪽 플루크로 전환함과 동시에 뒷날로 상대를 공격하는 베기이다.
이렇게 하는 이유는 뒷날로써 상대방의 검의 면을 밀어내면서 베어 힘싸움에서 우위를 가져가거나, 중심에서부터 왼쪽으로 더 많은 공간을 가져옴으로써 상대의 정수리를 베거나 목을 찌르는데에 있어 이점을 가져가기 위해서이다.
너는 우측 옥스로부터 검끝을 내린 뒤 뒤로 돌려 반대편 옥스로 전환함과 동시에 쉴하우할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검을 돌려 반대편 플루크로 전환함으로써 쉴하우할수도 있다.
상대가 너에게 오버하우하며 달려든다면 너는 쉴하우를 통해 그를 간단하게 제압할 수 있다.
만약 상대가 플루크로 너를 겨냥하고 견제한다면, 폼탁에서 플루크를 통해 쉴하우함으로써 상대의 검끝을 치움과 동시에 바인딩하며 상대의 목을 찌를 수 있다.
이 때,상대방이 너의 쉴하우를 두히벡셀하여 피한 뒤 공격하려고 한다면, 너는 그대로 손을 뻗어 상대방의 심장이나 목을 찌를 수 도 있다.
상대가 행엔으로 너의 공격을 흘리거나 즈버크하우한다면. 그 즉시 왼쪽 쉴하우하여 상대방의 검을 가둠과 동시에 뒷목을 썰어넘길 수 있다. 이때 앞으로 전진하며 상대방의 검을 크로스가드로 방어함과 동시에 강하게 밀어붙여야 하는데 이렇게 한다면 상대는 반격할 수 없다.
너가 쉴하우하는데 있어 상대방의 너의 검을 타고 들어가 손가락을 벤다면, 왼손을 조금 더 왼쪽으로 보내며 쉴하우하거나, 너의 검의 강한 부분으로 바인딩이 되지 않게끔 해야한다. 만약 너와 상대방이 너무 가까우면서 상대방의 베기를 쉴하우로 부수기 위해서는, 너는 제자리에서 쉴하우하거나, 앞발을 뒤로 움직이며 쉴하우하여야 한다.
쉴하우는 특히 중요한데 많은 검객이 플루크와 랑오트를 통해 너를 견제할 것이기 때문이다. 만약 그의 검끝이 배꼽 아래에서 나를 견제한다면, 너는 쉴하우로 바인딩하는것이 어려워 이러한 전략을 피해고 행엔과 쉬랭훗으로 바인딩해야하지만. 상대가 정상적으로 검끝으로 나를 쏘아붙인다면 너는 손을 앞으로 뻗으며 쉴하우하여 돌진하고, 상대의 검끝을 부숨과 동시에 찌를 수 있다.


즈버크하우

Zwerchhau
즈버크하우는 가로질러베기라는 뜻을 공격으로 주로 폼탁이나 옥스에서 가로로 상대를 베는 공격이다.
너는 즈버크하우를 통해 정확히 수평의 궤도로 상대방의 관자놀이나 목을 베거나, 혹은 낮은 궤도로 상대방의 손목이나 겨드랑이를 베어올릴 수 있다.
너가 상대와 가까이 바인딩 된 상황에서, 상대가 너의 정수리를 베기 위해 압박한다면, 너는 왼쪽 옥스가 되게끔 즈버크하우하여 너의 손과 머리를 보호하며 상대방의 관자놀이와 목을 벨 수 있다. 만약 상대가 검을 옆으로 움직여 방어한다면, 즉시 반대편으로 즈버크하우하라. 만약 이 때 네가 바인딩되어있는 감각을 느끼지 않고 성급히 반대편을 치려고 한다면, 상대방은 그대로 너의 손을 짓눌러 벨 수 있다. 내 검의 크로스가드가 상대방의 검과 바인딩되게 하여 상대의 목 깊숙히 즈버크하우하고, 상대방이 내 머리를 노리지 않을 때 반대편을 쳐야 한다.
상대가 오버하우한다면 너는 즈버크하우하여 상대의 공격을 방어하며 측면을 공격할 수 있다. 이때 최대한 우측 사선으로 접근하며 손을 높게 들어야 한다. 너가 너무 멀리서 낮은 자세로 즈버크하우한다면 머리나 손가락을 베일 수 있다.
만약 상대가 위에서 오는 공격만을 의식하고 높은 크론으로써 방어한다면, 너는 낮은 즈버크하우를 통해 상대방의 손과 겨드랑이를 쉽게 벨 수 있다.
네가 숙련된 검객이 아니라면 폼탁에서 검의 면이 자신의 몸으로 오게끔 썸그립 한 다음에 즈버크하우하라, 너의 즈버크하우가 정확히 수평이 되지 않는다면. 상대방의 검이 너의 검을 짓누를 수 있다.

